✏️ Development/Git

[Git] 깃 시작하기(repository 및 commit)

Lennon 2021. 11. 10. 22:22
728x90
반응형

 

학부시절 깃이 중요하다는 건 알았지만 정작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버전관리로 사용한 적이 없다...

 

그냥 프로젝트를 완성한 후 완성된 프로젝트를 커밋한 적밖에 없는 것 같다.

 

Git

 

Git은 소스코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특정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변경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매번 뭔가 할 때 컨트롤 z를 남발하는 본인 같은 개발자에게 정말 중요한 것 같아

 

오늘부터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Git을 통해 버전관리를 해보려고 깃에 대해 열심히 학습하고 적용하려 한다.

 

repository

 

Git repository: 파일이나 폴더를 저장해두는 공간 

 

Remote repository: 여러 사람들이 함께 공유하기 위한 저장소

 

Local repository: 내 PC에 파일이 저장되는 개인 전용 저장소

 

 

평소에는 로컬에서 작업하다가 작업한 내용을 공개 및 공유하고 싶을 때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하면 된다.

 

 

커밋

 

커밋버튼을 누르면 이전 커밋 상태부터 현재 상태까지의 변경 이력이 기록된 커밋이 만들어진다.

(과거 변경 이력을 알 수 있음)

 

 

tip: 버그 수정, 기능 추가 등 특별한 의미가 있는 업데이트를 작업 별로 구분해서 각각 커밋하면, 나중에 이력을 보고 특정 변경 내용을 찾기 쉽다.

 

 

커밋은 이력을 남기는 중요한 작업이기 때문에 커밋 버튼을 누를땐 커밋 메시지를 필수로 입력해야 한다!!

(메시지가 없으면 커밋이 실행되지 않는다고 한다.)

 

Git에서 권장하는 커밋 메시지 형식

 

1번째 줄: 커밋 내의 변경 내용을 요약

2번째 줄: 빈 칸

3번째 줄: 변경한 이유

 

 

작업트리와 인덱스

 

Git에서 폴더를 작업트리라고 부른다. 그리고 커밋을 실행하기 전 저장소와 작업 트리 사이의 공간을 인덱스라고 한다.

 

 

Git의 커밋 작업은 작업 트리에 있는 변경 내용을 바로 저장소에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인덱스에 파일 상태를 기록한다.

(stage, 스테이징 한다고도 표현)

 

따라서 인덱스에 저장소의 모든 변경사항들이 존재해야 한다.

 

 

인덱스는 가상 공간이지만 작업 트리 안에 있는 커밋이 필요없는 파일들을 커밋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일부만 등록해 커밋할 수 있게 도와준다.

 

 

내일을 노트북 클린설치도 했겠다 실제로 git을 실습 후 느낀 점 및 배운 점을 정리해야겠다.

 

오늘은 깃에 정말 기초만 배웠다. 내일 실습하며 더 깊게 습득해봐야겠다.

 

 

 

728x90
반응형